2025년 전세대출 조건 총정리 (버팀목·청년 전세자금대출 기준)
집을 구하기 전에 전세대출을 많이 알아보실 텐데 오늘은 전세대출 조건을 총정리해보겠습니다. 2025년에도 변함없이 전세대출(전세자금대출)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특히 주택도시기금 기반의 버팀목 전세자금대출과 청년버팀목 전세대출은 낮은 금리로 실수요자에게 안정적인 거주 기회를 제공해 인기가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핵심 전세대출의 자격 요건, 한도, 금리, 신청 절차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1. 전세대출 종류별 요약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일반 신청형):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무주택 세대주를 대상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수도권 최대 1.2억, 지방 최대 8천만 원 한도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 신혼·다자녀 우대 버팀목 전세대출: 신혼가구 연소득 최대 7.5천만 원 이하, 2자녀 이상 부부합산 6천만 원 이하 가구 대상에 포함됩니다. 수도권 최대 2.22억이 한도입니다.
- 청년버팀목 전세대출: 만 19~34세 이하 무주택 세대주 대상으로 실시됩니다. 보증금 3억 원 이하, 한도는 최대 2억 원까지 가능합니다, (만 25세 미만 단독세대주 1.5억 원)
2. 자격 요건 상세
- 무주택 세대주여야 하며, 세대원 전원 무주택이어야 합니다. (예비세대주도 일부 가능)
- 소득 기준:
- 일반형: 부부합산 연소득이 5천만 원 이하인 경우 전세대출이 실행 가능합니다.
- 2자녀 이상: 부부합산 연소득이 6천만 원 이하인 경우 전세대출이 실행 가능합니다.
- 신혼가구: 부부합산 연소득이 7.5천만 원 이하인 경우 전세대출이 실행 가능합니다.
- 청년형: 연소득이 5천만 원 이하인 경우 실행 가능합니다.
- 자산 기준 (청년형): 순자산 3.45억 원 이하인 경우 전세대출이 실행 가능합니다.
- 주택 기준: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전용면적 85㎡ (만 25세 미만은 60㎡) 이하인 경우 전세대출이 실행 가능합니다.
3. 금리 & 한도 정리
1) 청년버팀목 전세대출 금리
기본 금리는 연 2.0%~3.1% 수준이며, 아래와 같이 소득 구간별 차등 적용됩니다. 또한 다양한 우대금리를 통해 조건이 맞으면 연 1%대 실금리도 가능하지만, 최저금리 1.0% 미만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2천만 원: 2.0%
- 2천만 초과~4천만 원: 2.3%
- 4천만 초과~6천만 원: 2.7%
- 6천만 초과~7.5천만 원: 3.1%
청년형 한도: 2억 원 또는 전세보증금의 80% 중 낮은 금액 (만 25세 미만은 최대 1.5억 원)
2)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금리 & 한도
서울시 기준으로 평균금리는 연 2.5%~3.5%이며, 수도권은 최대 1.2억 원 한도, 지방은 최대 0.8억 원입니다.
4. 신청 절차 & 서류 준비
- 신청 채널: 기금 e 든든 홈페이지 또는 수탁 은행(신한, 국민, 농협, 우리, 기업은행 등) 방문 신청 가능.
- 기본 준비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세대주 확인)
- 소득증빙 (소득금액증명원 또는 원천징수영수증)
- 임대차계약서 및 확정일자 포함 사본
- 자산심사용 서류 (청년형의 경우 순자산 확인용)
- 심사 및 실행 절차는 보증기관(HUG 또는 HF)을 통한 보증심사 → 대출심사 → 실행 순입니다.
5. 실전 팁 & 체크리스트
- 본인의 소득 및 자산 구간에 맞는 상품 유형을 먼저 확인하세요. (일반형 vs 청년형 등)
- 전세보증금 금액과 면적 기준도 중요합니다. 특히 청년형은 “3억 원 이하와 85㎡이하” 조건입니다.
- 은행마다 비대면 신청 가능 여부와 실행 방식이 다를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하고 준비하면 편리합니다.
- 우대금리 조건(다자녀, 전자계약 등)이 있다면 반드시 챙기세요. 실제로 연 2.0% 이하 금리도 가능합니다.
- 서류 준비는 꼼꼼히! 주민등록등본·확정일자가 포함된 임대차계약서·소득증빙이 필수입니다.
▶ 한 줄 요약
2025년 전세대출은 청년형(연 2.0~3.1%, 한도 2억 원) + 일반형(연 2.5~3.5%, 한도 0.8~1.2억 원)이 핵심입니다. 무주택 세대주 조건 속에서 소득·자산·전세보증금 조건을 잘 맞출 수 있다면, 안정적인 주거 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은행별 금리 비교나 보증기관(HUG vs SGI) 특징도 다룰 예정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내 집마련을 위해 디딤돌 대출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블로그글을 참고해 주세요.
2025.08.05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디딤돌 대출 조건, 나도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디딤돌 대출 조건,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오늘은 내 집마련을 위해 대출 중에서 정부의 지원으로 금리를 조금은 낮게 받을 수 있는 디딤돌 대출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내 집 마련의 꿈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
jamkum.com